[DL] CNN_1.모델 구조

8 분 소요

 문성훈 강사님의 강의를 기반으로 합니다. Github Repo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1. 개요

딥러닝을 도입하여 MNIST 예제를 풀어보았다. 이 과정에서 구성한 신경망 모델의 구조를 떠올려 보자. 입력 - 은닉 - 출력층을 거쳤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로는 이미지를 학습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MNIST 이미지 예제를 통해 학습하는 모델을 구현했을 때도 보았듯, 이미지는 2차원 데이터이고, 이 2차원 데이터를 1차원 벡터로 평활화하여 신경망 모델에 학습시켜야 한다. 이렇게 이미지 데이터의 픽셀을 1차원으로 flatten하는 과정에서, 정보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미지가 휘어 있거나, 크기가 제각각이거나, 색상이나 모양에 조금이라도 변형이 있다면? 평활화하는 과정에서 정보가 온전히 보존될 수 있을까?

이에 이미지를 판단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서 CNN 신경망 모델이 제안되었다. 그리고 해당 알고리즘이 컴퓨터 비전, ImageNet 등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면서, CNN 모델이 이미지를 판단하는 데 있어 성능이 좋은 알고리즘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이 모델을 구현하는 데 있어 핵심은 “사람의 학습 방식을 모방해 이미지 학습을 진행한다”는 것이다. 요컨대, 사람은 이미지에 변형이 생기더라도 특징을 비교해서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이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데이터를 있는 그대로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가 가진 일부 특징을 기억한다.

따라서 이 원리를 모방한 CNN 알고리즘은 이미지 픽셀을 모두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를 대표하는 특징을 도출한다. 이 과정을 반복하여 이미지를 대표하는 여러 개의 이미지를 만들어서 그 이미지의 특징적 픽셀을 학습하는 것이다.

CNN 알고리즘의 가장 큰 특징은 이미지 크기를 줄이면서도, 특징을 나타내는 여러 장의 이미지들을 추출해낼 수 있다는 것이다. Fully Connected Layer에 도달하기 전까지 평활화 과정 없이 이미지의 공간 정보를 효과적으로 유지하면서, 특징을 나타내는 픽셀들을 추출해 낸다. 이 과정에서 인접한 픽셀과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추출한 이미지의 특징을 모으거나 강화할 수도 있다.

학습 효율성 측면에서 보자면, Fully Connected Layer에 추출 과정을 거친 벡터를 넣기 때문에, 모든 이미지 픽셀을 1차원으로 평활화하여 주입할 때보다 학습해야 할 node 수가 적어진다.

2. 주요 개념

정사각 행렬 모양의 Filter가 이미지를 순회하며 Convolution을 계산하고, 그 계산 결과를 이용하여 Feature(d) Map을 만든다. 이를 모아 한 이미지에서 활성화된 픽셀만을 모은 Activation Map을 만든다. 여기까지의 과정을 하나의 Convolution Layer라고 한다. 이 Convolution Layer의 shape은 Filter 크기, Stride, Padding 등에 영향을 받는다.

출력된 Convolution Layer를 또 하나의 입력 데이터로 삼아, Pooling 과정을 거친다.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 이 과정에서 이미지의 size는 줄어들고, channel이 늘어나게 된다. 이렇게 한 이미지의 특징을 뽑아 낸다.


2.1.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이해

우리가 눈으로 보는 컬러 이미지는 사실 RGB 공간에 저장된다. 쉽게 이해하자면, 아래와 같은 컬러 이미지는 다음과 같이 RED, GREEN, BLUE의 세 가지 픽셀 값을 사용하여 표현된다는 것이다.

RGB


따라서 위의 이미지를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다.

RGB-image

만약 흑백 이미지라면, 이미지는 RGB 공간이 아니라 Gray Scale 공간에 저장된다. 이 경우, 픽셀의 값은 당연히 흰색의 강도를 나타낼 것이다. 작을수록 검정색에 가깝고, 클수록 흰색에 가깝다.

이렇게 이미지가 어떤 색 공간에 저장되는지에 따라 이미지의 depth가 달라진다. RGB 공간의 경우 이미지 depth는 3이고, Gray Scale 공간의 경우 1이다. 이미지를 하나의 depth별로 쪼개어 나타냈을 때 한 장 한 장(?)의 이미지를 Channel이라고 한다.

2.2. 입력 데이터

CNN 신경망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Height, Width, Channel) 형태의 이미지이다. 만약 CNN 신경망에 이미지 1장이 입력된다고 해 보자. 그 이미지가 만약 28x28 픽셀의 컬러 이미지라면 해당 입력 데이터의 shape은 (28, 28, 3)이고, 흑백 이미지라면 그 shape은 (28, 28, 1)이 된다.


2.3. Convolution Layer


1) 필터 (a.k.a Kernel)

이미지의 특징을 뽑아낼 거름망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2차원 정사각 행렬 형태이다. 자신의 사이즈 만큼 이미지를 확대하여, 해당하는 부분만 확인한다. 그리고 특정한 연산을 수행하여 그 영역의 값들을 하나의 값으로 뽑아 낸다.

해당하는 영역의 값들을 하나의 값으로 뽑아내기 위해, 합성곱 연산을 수행한다. Image Detection을 위한 것으로, 기존 신경망 모델에서의 weight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처음에는 random 값을 부여한 뒤, 학습을 통해 적절한 filter 값을 찾아 나가게 된다.

Channel

Convolution을 구성하는 레이어의 수를 의미한다. 처음에는 이미지의 depth(흑백, 컬러 여부)이지만, 그 이후에는 필터의 개수가 된다. 따라서 이미지는 입력층을 지나 Convolution Layer를 지날 때마다, 채널의 수가 달라지게 된다.


2) 합성곱

필터가 합성곱 연산을 수행하는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샘플 이미지를 준비하자. 왼쪽의 흑백 이미지 사진을 Gray Scale의 픽셀 값으로 나타내면 오른쪽과 같다.

루비 Gray Scale 픽셀
ruby ruby_gray


이제 임의의 Filter를 가지고 위의 흑백 이미지 스케일에 합성곱 연산을 수행해 보자.

  • 임의의 Filter : random 값이므로 크게 신경쓰지 말자.

filter

  • 합성곱 연산

convolution

위의 그림에서 각 색깔로 표시되어 있는 위치에서 합성곱 연산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보자.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 행렬에서 필터 크기만큼만 추출(? 적당한 말이 생각이 안 난다)한다. 그리고 필터 행렬과 추출된 행렬 크기 만큼의 이미지 데이터에서 각 원소를 곱한 뒤 더한다.


3) 보폭 (a.k.a Stride)

Filter가 합성곱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이동하는 양을 의미한다. window 개념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필터가 지정된 보폭만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이동한다.

5 x 5 이미지에서 필터 사이즈가 3 x 3일 때, 보폭이 1인 경우와 2인 경우, 필터의 이동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 보자.

stride = 1 stride = 2
stride1 stride2


4) Feature map 만들기

드디어 이미지에서 특징을 뽑아낸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 차례이다. 필터를 설정하고, 같은 값을 갖는 필터를 이용해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훑는(?)다. 그 과정에서 각각의 필터가 계산해 내는 합성곱 연산 결과를 2차원 행렬에 저장한다. 그러면 그것이 바로 Feature Map이다.

5 x 5 이미지, 필터 사이즈가 3 x 3일 때, 보폭이 1인 경우 Feature Map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


feature map


이러한 과정으로 필터를 거쳐 합성곱을 수행하면, 필터 가중치에 해당하는 이미지의 특징들이 추출된다. (마치 필터 모양, 크기의 돋보기로 이미지를 살펴 봐서 하나씩 뽑아낸 셈?) 그래서 이를 이미지의 특징이 추출된 형태라 하여 Feature(d) Map이라 한다.

예컨대 아래와 같이 5를 나타내는 이미지에서 맨 위의 가로 부분을 뽑아내서 인식하고 싶다면, 가로로 배열되어 있는 성분을 강조하는 3 x 3 크기의 필터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숫자가 없는 부분의 픽셀 값을 모두 0이라 하여 Convolution을 수행하면, 오른쪽과 같이 기존의 이미지에 비해 가로 성분이 강조된 Feature Map이 출력된다.

feature map ex


중요한 것은 Feature Map에서 한 변의 길이이다. 한 변의 길이가 정수가 되도록 stride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 5 x 5 이미지, 3 x 3 필터, 1 보폭 : Feature Map 사이즈 3 x 3
  • 5 x 5 이미지, 3 x 3 필터, 2 보폭 : Feature Map 사이즈 2 x 2

이를 바탕으로 한 변의 길이를 일반화하여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N : 이미지의 변의 길이(가로/세로), F : 필터의 한 변 크기, stride : 보폭 크기)

\[\{(N-F)/stride\} + 1\]

5) Padding

그런데 위와 같이 Filter를 적용하여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하는 작업을 계속하다 보면, 이미지의 사이즈가 작아지게 된다. 이렇게 이미지의 사이즈가 작아지게 되면 정보의 손실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미지 레이어 외부에 일정한 값의 레이어를 덧댄다. 일반적으로 상하좌우 같은 크기의 값을 갖는 0을 덧대는 패딩을 사용한다.

padding ex

위의 예시에서 양 쪽에 1만큼의 패딩을 덧댄다. 원래 10 x 10 사이즈이던 이미지가 12 x 12 사이즈가 된다. 그리고 컨볼루션을 한 결과, 원래 이미지와 같은 크기의 10 x 10 사이즈의 Feature Map이 나온다.

참고

이후 코드 구현에서 패딩의 결과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몰라 질문했는데, 패딩에서 덧대는 0이 진짜 숫자로서의 의미를 갖는다기 보다는 비어 있는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고 이해해야 맞는 듯하다.

패딩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Convolution Layer의 출력 데이터 크기가 과도하게 줄어드는 것을 방지한다. 이미지의 공간 정보 손실을 방지한다.
  • 인공 신경망이 이미지 외곽을 인지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한 변의 길이를 일반화하여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N : 이미지의 변의 길이(가로/세로), F : 필터의 한 변 크기, P : 패딩의 크기, stride : 보폭 크기) 패딩을 하면 이미지 한 변의 길이가 N에서 N+2P로 늘어난다는 것만 주의하면 된다.

\[\{(N+2P-F)/stride\} + 1\]

6) Activation Map

Feature Map의 각 픽셀에 대해 활성화 함수를 적용한 결과이다. Convolution Layer의 최종 출력 결과가 된다. 일반적으로 ReLU 함수를 사용한다.


2.4. Pooling Layer

참고

Pooling을 별도 Layer가 아니라, Convolution Layer 내의 작업으로 보기도 한다.

Pooling이란 Convolution Layer의 출력인 Activation Map의 크기를 줄이는 과정이다. Activation Map에서 어차피 인접한 부분이라면 겹치는 픽셀이 많을 것이다. 따라서 인접한 부분에서 일정한 기준에 따라 픽셀 하나의 값을 뽑아 낸다.

일정한 크기의 커널을 두고 Activation Map을 슬라이딩하며 가장 큰 값(Max Pooling) 혹은 가장 작은 값(Min Pooling) 혹은 평균값(Average Pooling)을 뽑아 낸다. Pooling 커널이 슬라이딩하는 것은 2.3.1)의 필터가 움직이는 것과 같은 원리이므로, 해당 커널 역시 stride가 있다.

커널 사이즈가 2x2이고, stride가 2일 때 각각의 Pooling 종류에 따라 Activation Map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하자.

pooling

Max Avg Min
max avg min


일반적으로 커널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대푯값을 뽑아내고자 하므로, 가장 큰 값이 해당 커널 영역에서 상관성이 가장 높다고 판단하여 Max Pooling을 제일 많이 사용한다.

Pooling을 적용하면 정보의 손실이 일어난다는 단점이 있지만, 한편으로 연산량, 메모리 사용량을 줄이고, 과적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데이터의 특정 부분이 약간 틀어지거나 위치가 변하더라도, Pooling을 적용함으로써 동일한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2.5. Fully Connected Layer

위와 같은 ConvolutionPooling을 반복적으로 적용하여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해 낸다. 해당 과정을 반복하면 반복할수록, 원래 이미지는 추상화되어 특징들이 남게 된다.

이렇게 추출된 결과를 flatten하여, 1차원 벡터로 Fully Connected Layer에 전달한다.


fc layer

Fully Connected Layer에서 수행하는 일은 이전의 신경망 모델과 동일하다. 활성화 함수를 적용해 원하는 작업(여기서는 분류)을 수행한 뒤, 최종 결과를 추출해 낸다. 옵티마이저는 Convolution LayerFully Connected Layer의 가중치에 오류들을 역전파하며 각 가중치들을 조정해 나가게 된다.


3. 모델 아키텍쳐

20 x 20 사이즈의 컬러 이미지 1장을 1번의 Convolution LayerPooling Layer에 통과시켜 고양이인지, 강아지인지 구분한다고 해 보자.


cnn arch

3차원 이미지이기 때문에, RGB 각각의 채널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4 x 4 형태의 필터를 적용한다고 하자. RGB 공간의 이미지이기 때문에, 필터 역시 RGB 공간에 있어야 하므로, 필터의 depth도 3이다. 따라서 필터 shape은 (4, 4, 3)이 된다.

필터에서 R 채널에 해당하는 부분이 이미지의 R 채널을 순회하고, G에 해당하는 부분이 이미지의 G 채널을 순회하며, B에 해당하는 부분이 이미지의 B 채널을 순회한다. 각각의 채널에 필터가 적용된다는 말이다.

이제 이 필터는 12개의 값으로 구성된 육면체(실제 구현 단계에서는 Tensor이다)이다. 이 상태에서 Convolution 연산을 하기 때문에 12개의 값을 모두 더한 것이 Feature Map의 한 칸에 저장된다. 패딩을 하지 않고, stride를 2로 설정한다고 하자. 이 때 Feature Map 한 변의 길이는 9가 된다.

이제 이미지에 각각 다른 필터 6개를 적용한다고 하자. 6개의 서로 다른 특징들을 추출하겠다는 의미다. 예컨대 하나의 필터는 고양이의 귀를, 하나는 고양이의 눈을, 또 다른 하나는 고양이 수염을 인식하는 방식이다. 서로 다른 부분을 추출하므로 각각의 필터가 가지고 있는 가중치는 모두 다르다.

그렇다면 6개의 필터를 활용해 Convolution을 적용한 결과로 모두 9x9짜리의 Feature Map 6개를 결과로 얻게 된다. 각각의 Feature MapReLU 활성화 함수를 적용하여 Activation Map을 만든다. 따라서 Convolution Layer에서 얻게 되는 데이터의 shape은 (9, 9, 6)이 된다.

위의 과정을 통해 Convolution 출력 레이어의 최종 결과의 채널은 필터의 개수와 같아 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위에서 말했듯 필터가 추출하고 싶은 이미지 특징을 나타낸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추출하고 싶은 특징의 수를 설정한 뒤, 이것을 모두 필터로 설정해 버리면 된다. 그 결과, Convolution Layer의 채널 수로 추출하고자 하는 특성의 수 만큼을 가지게 된다.

이제 위의 Activation Map에 커널 사이즈를 3 x 3, stride를 2로 하여 Max Pooling을 적용하자. 그러면 각각의 Activation Map3 x 3 사이즈로 축소된다.

이렇게 모든 ConvolutionPooling의 과정을 거친 후, 모든 데이터를 평활화한다. 그러면 (3, 3, 6) shape의 데이터가 (54, ) shape의 1차원 벡터가 된다. 이 벡터를 Fully Connected Layer에 주입하고, 활성화 함수로 Sigmoid 함수를 사용하여 이진 분류 문제를 풀면 되는 것이다.


한 장의 이미지를 주입할 때 CNN 모델의 아키텍쳐는 위와 같다. 이제 위와 같은 이미지가 여러 장 있다면, 데이터의 shape이 4차원이 될 것이다. 기존의 3차원 구조에 이미지의 개수가 한 차원으로 더 추가되는 것이다. 다음 실습에서 살펴 볼 Tensorflow에서는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 이미지 개수, 이미지 높이, 이미지 너비, 채널 수), 즉, (Num, Height, Width, Channels)로 표현한다.

차원이 한 차원 더 더해지는 것일 뿐, 뒤의 과정은 동일하다. 이렇게 여러 장의 이미지에 ConvolutionPooling을 여러 번 적용하고(여러 층을 만든다는 의미이다.), 학습을 통해 특징을 추출해낸 뒤 Fully Connected Layer에 주입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CNN 알고리즘의 원리이다.



hit count image

댓글남기기